본문 바로가기
건강

건강하게 커피 마시는 방법

by geniebook 2025. 3. 12.
반응형

저는 직업상의 이유로 인해 값싼 자판기 커피를 꽤 오랫동안 마신 적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위장에 무리가 갔고, 특히 치아 건강(치주질환)에도 악 영향을 주어 아주 큰 고생을 했습니다.  물론 달달한 믹스커피가 아니면 괜찮다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많지만 저는 커피 만큼은 가능하면 마시지 않는 게 좋고, 마시더라도 최소한으로 마셔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커피를 끊을 수가 없는 기호식품이 되어 있습니다. 그러니 피할 수 없다면 즐겨야겠죠? 그래서 커피를 아예 마시지 말라고 권하고 싶지만 이왕 마실거면 아래 내용을 참고하시면 좋을 거 같아 간략하게 적어 봅니다.

건강하게 커피 마시는 방법
건강하게 커피 마시는 방법

 

1. 설탕커피, 프림커피 대신 블랙커피

 

당뇨병, 심장병, 뇌혈관 질환이 염려되시는 분들은 설탕이나 프림이 들어간 커피 대신 블랙커피를 권해드립니다. 특히나 시럽이 들어가면 설탕과 과당이 지나치게 들어가니 더욱 더 유의해야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달달한 맛을 추가하고 싶다면 설탕 대신 스테비아를 사용하면 좋습니다. 스테비아는 천연감미료로 단맛은 내지만 당류 함량이 0g으로 혈당 상승을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2. 언제 마시는 게 좋을까? 

카페인이 문제다

커피에 카페인이 들어 있다는 건 누구나 다 아는 사실입니다. 커피 속 카페인을 마시면 졸음을 막아주고 정신을 맑게 해주는 각성 효과는 있지만, 카페인은 지속시간이라는 게 있어서 커피를 마신 후 5~8시간 가량 각성효과가 유지되는 특성 있습니다. 특히나 나이가 많을 수록 체내 카페인 분해 속도가 느려져 잠자리에 들 시간까지 지속될 수 있어 불면증을 유발할 수 있고 숙면에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러니 나이가 많을 수록 커피는 오전에만 마시는 게 좋아 보입니다.

 

공복에는 커피를 피하세요

공복 상태에서 커피를 마시면 위산 분비가 촉진되어 위 점막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커피를 마신 직 후 속이 쓰리다고 하신 분들은 대체로 공복에 마셔서 그럴 겁니다. 특히 아침 공복에는 더더욱 주의가 필요합니다.

건강하게 커피 마시는 방법
건강하게 커피 마시는 방법

 

3. 하루 몇 잔이 적당할까?

 

의사들이나 전문가들 마다 견해가 다르지만 대략 3~4잔 까지는 괜찮다고 봅니다. 이 이상 마시면 카페인으로 인한 수면의 질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결론

서두에서도 적었지만 개인적으로는 커피는 되도록이면 마시지 않는 것이 좋다고 봅니다. 다만 사회생활 하다보면 마시지 않을 수 없는 게 현실이기도 합니다. 다만 커피도 나이에 따라 마시는 방법에 더 주의가 필요한데, 특히 50대 이후에는 더 주의가 필요합니다. 요약하자면, 공복에 마시는 걸 피하고, 되도록이면 잠들기 8시간 전에 마시고, 설탕이나 프림이 들어가지 않은 블랙커피를 마시는 게 건강에 좋다고 합니다. 믹스커피에 대해서는 다음편에 다루어 보려고 합니다.

반응형